본문 바로가기
초등 임용/지총+교과교육론+a

(초등임용) 과학의 본성과 태도

by 공부하는교대생 2022. 2. 6.

 

⚗️ 과학은 지도서 각론 출제 비중 ⬆️

총론은 각론과 연계되서 1-2문제 정도

과학 지도서 총론 : 용어 암기와 개념의 의미 이해

그래도 과학의 본성과 태도는 좀 출제됨..

 

 

<출제>

관찰의 이론 의존성(4), 지식의 잠정성(2)

과학적 태도(2), 지식의 구성요소(3), 과학의 진보(1)

 


 

<과학의 본성>

01. 과학 지식을 바라보는 관점

(ㄱ) 전통적 인식론

- 전통적 과학 철학의 인식록적 관점

- 객관주의 학문, 합리적인 학문

- 과학은 절대 불멸의 진리

(ㄴ) 현대 인식론

- 현대 과학 철학의 인식록적 관점

- 과학은 사회적 합의를 통해 구성

- 언제든 수정 가능한 잠재성을 지님

 

02. 과학의 본성에 대한 정의

: 모든 학생들에게 과학적 소양 함양의 중요성 강조

(ㄱ) 과학 지식은 잠정적 특성을 지닌다.

(ㄴ) 과학 지식은 주로 관찰, 실험적 증거, 이성적 논쟁, 회의론에 의존

(ㄷ) 보편적인 순차적 단계의 과학적 방법은 없다.

(ㄹ) 과학은 자연 현상을 설명하려는 시도이다.

(ㅁ) 법칙 ≠ 이론

(ㅂ) 모든 문화는 과학에 기여

(ㅅ) 새로운 지식들은 개방적으로 보고되야 함

(ㅇ) 과학자들에는 정확한 기록 보유, 동료 간의 상세한 재검토,

재현 가능성이 요구

(ㅈ) 과학은 이론 의존적이다.

(ㅊ) 과학은 창의적

(ㅋ) 과학은 사회적 문화적 전통의 일부

(ㅌ) 과학적 아이디어는 그들의 사회적 역사적 환경의 영향을 받음

(ㅍ) 과학의 역사는 누적적, 발전적, 혁명적

(ㅎ) 과학과 기술은 서로 영향을 미침 (STS)

 

 

03. 과학의 본성에 대한 학습의 중요성

?

 

04. 과학의 본성을 구성하는 요소

(ㄱ)과학의 일반적 특성 X 6

- 일반화

- 경험 중시

- 분석 및 해석

- 잠정석

- 모형화

- 간학문성

(ㄴ) 구성요소

- 태도

- 기능

- 지식(과학의 산물)

 

05. 과학 지식의 발달에 대한 관점

(= 과학 철학)

(ㄱ) 귀납주의(누가적)

- 전통적 관점

- 과학적 이론은 귀납의 방법을 통해 형성됨

- <자료 수집 → 귀납 추론 → 일반화>의 과정

- 많은 A가 B라는 성질을 가진다면 모든 A는 B라는 성질을 가진다.

→ 논리적 비약, 이론 의존성에 의해 관찰 사실이 반드시 참X

(ㄴ) 포퍼의 반증주의(진화적)

- 지식의 발달은 축적이 아닌 반증 사례의 발견

- 이론이 옳다는 것은 증명X, 옳지 않다는 반증은O

- <반증 가설 제시 → 비판과 시험 반복 → 반증되면 가설 폐기 → 검증 통과하면 과학 지식의 체계 내에서 살아남음>의 과정

- 반증 가능성이 높을수록 좋은 이론(포괄적이고 일반적임)

- 반증 가능성이 있어야 과학적 설명

- 이론 의존성에 의한 오류 가능성

- 반증되도 이론이 버려지지 않은 경우 많음

(ㄷ) 현대의 과학 철학 - 리카토스의 연구 프로그램(진화적)

- 반증주의 개선

- 과학 지식은 견고한 핵과 보호대로 이루어짐

- 반증사례가 나오면 보호대를 수정보완함으로써 견고한 핵을 반증으로부터 보호

(ㄹ) 현대의 과학 철학 - 쿤의 과학혁명(격변적)

- 과학은 기존 이론을 혁명적으로 대체함으로써 발달

- <전과학 단계 → 정상과학 단계 → 위기 단계 → 혁명 단계 → 새로운 정상과학 단계 → 위기 단계 >의 과정

- 반증사례가 나오면 변칙사례로 간주

- 반증사례가 축적되면 위기가 조장

- 정상과학은 패러다임


<과학에 관련된 태도>

- 명칭과 의미만

-' 과학적 태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 포함

01. 과학적 태도 X 11

(ㄱ) 호기심

- 자연 현상에 의문을 품고 스스로 대답하려는 자세

(ㄴ) 합리성

- 검증된 사실, 논리적 증거 중시

(ㄷ) 객관성

- 공정한 평가

(ㄹ) 판단 유보

- 섣부른 결론은 X

(ㅁ) 비판적인 마음

-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태도

(ㅂ) 개방성

- 잠정성이 있다고 받아들임

- 기꺼이 자신의 이론이나 설명 변경

(ㅅ) 정직성

- 진실을 추구, 실험결과 왜곡X

(ㅇ) 겸손과 회의

- 개방성 + 비판임 굳이 구분X

(ㅈ) 증거의 존중

(ㅊ) 협동심

(ㅋ) 실패의 긍정적 수용

02. 과학의 산물(지식) X5

- 지식의 구성 요소라고 생각하면 됨

(ㄱ) 사실

- 의미 : 관찰하거나 측정하여 얻어진 결과, 검증 가능한 진술

- 개념, 법칙, 이론의 바탕이 된다.

- 이론에 의존하는 특성이 있음

- 예) 하루 동안 태양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진다.

(ㄴ) 개념

- 의미 : 사상이나 사물 또는 현상을 추상화한 것

- 물체나 성질, 현상 등에 대해 공통적으로 공유하는 관념

- 예) 포유류

(ㄷ) 법칙

- 의미 : 규칙성을 일반화한 것

- 과학적 사실이나 현상 사이에 나타나는 규칙이나 경향성 정리

- 개념 사이의 보편적인 관계를 진술한 것

- 예) 보일 법칙

(ㄹ) 이론

- 의미 : 현상을 추론하여 얻은 설명

- 자연현상의 원인을 설명하고 새로운 현상을 예측

- 잠정적인 상태로 존재, 적절성만 있고 옳고 그름은 없음

- 수정되거나 보완, 기각되어도 사실이나 법칙은 될 수 없음

- 추상적인 모형이나 비유를 이용해 표현할 수 밖에 없음

- 사실, 개념, 법칙의 이유나 원리를 설명한 것

- 예) 기체 분자 운동 이론

(ㅁ) 모형

- 의미 : 직접 관찰하거나 볼 수 없는 현상의 구체적 표상

- 우리가 쉽게 관찰할 수 없는 사물이나 현상 설명 유용

- 과학 학습에 이용하면 친숙하고 쉽게 익힐 수 있음

- 단순화하고 도식화되기 때문에 오해 가능성

- 모형과 실제 자연 현상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지도)


과학의 일반적 특성 청킹

: 깐() 일/분자 가져올게

정성

학문성

반화

석 및 해석

험 중시

형화

 

과학적 태도 청킹

: 비/실호/객개/판합/정에서 협동하며 겸손하게 회의한다.

거와 존중

판적인 마음

패의 긍정적 수용

기심

관성

방성

단유보

리성

직성

협동

겸손회의

 

아 청킹 최대한 조금 하려고 했는데

벌써 청킹 없으면 못 외우겠네.

댓글